2008. 4. 25. 13:57
최근 새로 나온 SATA하드를 장착한 노트북들중에 윈도우 XP를 설치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내가 고생했던 모델은 도시바의 Satellite A205-S5804 였다.
윈도우를 설치를 진행하다 보면 하드를 포맷하고 윈도우를 어느 파티션에 설치할거냐고 묻는 부분에 가서 '하드 디스크가 없다'라는 소리를 하고 더 이상 진행을 시킬 방법이 없는 것이었다.
(이 화면으로 넘어가지를 못한다. -_-)
문제의 원인은 인텔의 새로운 칩셋(965)이었다. 이 놈들은 ICH8 HBM/AHCI SATA DRIVER를 사용해야 하는데 이 드라이버는 기본적으로 XP install cd에 포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윈도우 설치 프로그램이 SATA하드를 인식하지 못하게 되어 버리는 것이다.
델에서 나온 모델은 칩셋을 다른걸 사용했는지 확인해보지는 않았지만 BIOS에서 PATA 호환으로 동작하게 해 주는 옵션이 있어서 이걸 켜주면 바로 xp를 설치할 수 있는데 비해 도시바 저 모델의 경우는 BIOS에 그런 종류의 옵션이 아예 없어서 윈도우 XP 원본 설치CD만으로는 설치할 방법이 없다.
이 경우 해결책은 윈도우 XP 설치CD에 필요한 SATA device driver를 추가시켜서 설치 프로그램이 SATA하드디스크를 인식하게 만들어 줘야 한다.
이 문서가 구글신의 도움으로 찾은것인데 지금은 링크가 바뀐거 같아 편의를 위해 pdf 파일을 첨부해 놓았다.
내가 고생했던 모델은 도시바의 Satellite A205-S5804 였다.
윈도우를 설치를 진행하다 보면 하드를 포맷하고 윈도우를 어느 파티션에 설치할거냐고 묻는 부분에 가서 '하드 디스크가 없다'라는 소리를 하고 더 이상 진행을 시킬 방법이 없는 것이었다.
문제의 원인은 인텔의 새로운 칩셋(965)이었다. 이 놈들은 ICH8 HBM/AHCI SATA DRIVER를 사용해야 하는데 이 드라이버는 기본적으로 XP install cd에 포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윈도우 설치 프로그램이 SATA하드를 인식하지 못하게 되어 버리는 것이다.
델에서 나온 모델은 칩셋을 다른걸 사용했는지 확인해보지는 않았지만 BIOS에서 PATA 호환으로 동작하게 해 주는 옵션이 있어서 이걸 켜주면 바로 xp를 설치할 수 있는데 비해 도시바 저 모델의 경우는 BIOS에 그런 종류의 옵션이 아예 없어서 윈도우 XP 원본 설치CD만으로는 설치할 방법이 없다.
이 경우 해결책은 윈도우 XP 설치CD에 필요한 SATA device driver를 추가시켜서 설치 프로그램이 SATA하드디스크를 인식하게 만들어 줘야 한다.
이 문서가 구글신의 도움으로 찾은것인데 지금은 링크가 바뀐거 같아 편의를 위해 pdf 파일을 첨부해 놓았다.
TAG chipset,
downgrading,
intel 965 chipset,
Notebook,
SATA,
sata hdd,
windows xp,
노트북,
다운그레이드,
비스타,
윈도우XP,
윈도우XP 설치
댓글을 달아 주세요
FDD 없는 노트북에서 윈도 설치시 하드가 인식되지 않을 때
USB-FDD를 지원하는 플래시 메모리에 F6 드라이버를 저장해서 설치하시면 간단합니다.
(국내 S사의 제품이 유일한 것 같은데, 용산에 가보니 1만원 하네요.)
윈도 CD 설치 초기에 "다른 드라이버를 설치하려면 F6 누르세요."에서 "F6" 누르고
나중에 "드라이버 위치" 물을 때 "S" 누르고 플래시 메모리에 있는 드라이버를 지정하면 됩니다.
F6 드라이버는 칩셋 제조사(거의 인텔) 사이트에 가면 칩셋별로 다운 받을 수 있습니다.
저도 드라이버 구하다가 이 곳까지 왔네요. 허접하지만 도움이 될까 해서 몇자 적었습니다.